중국 플랫폼 마케팅 시 금지 키워드 정리 및 주의사항
중국 플랫폼 마케팅 시 금지 키워드 정리 및 주의사항
중국 플랫폼에서 마케팅을 진행하려는 기업과 개인들이 점점 늘어나고 있다. 그러나 중국의 디지털 생태계는 국내와는 달리 매우 복잡하고 제한적인 규제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단순한 키워드 사용만으로도 콘텐츠 전체가 삭제되거나 계정이 정지되는 일이 발생할 수 있다. 특히 중국 정부가 직접 관리하는 온라인 검열 시스템인 만리방화벽(Great Firewall)의 영향으로 인해, 금지 키워드에 대한 규제가 점점 더 정교하고 강력해지고 있다. 그 결과 마케터들은 콘텐츠 기획 단계에서부터 단어 선택에 신중을 기해야 하며, 키워드 하나로 인해 수개월의 마케팅 준비가 물거품이 되는 사례도 있다. 본 글에서는 중국 내 대표 플랫폼(웨이보, 위챗, 도우인, 샤오홍슈 등)에서 공통적으로 금지되고 있는 키워드와 함께, 실제 운영 시 주의해야 할 사항들을 체계적으로 정리하여 제공한다. 이는 단순 정보 전달을 넘어, 중국 진출을 고려하는 마케터들에게 실질적인 가이드가 될 수 있도록 구성되었다.
중국 플랫폼 마케팅 시 자주 금지되는 정치 관련 키워드
중국 정부는 정치적으로 민감한 키워드에 대해 매우 엄격한 입장을 취하고 있다. 특히 1989년 천안문 사건, 대만 독립, 홍콩 민주화 운동 등과 관련된 키워드는 중국 내 어떤 플랫폼에서도 사용이 불가능하다. 예를 들어 ‘Tiananmen’, ‘Democracy in Hong Kong’, ‘Free Tibet’, ‘Falun Gong’ 등은 금칙어 목록에 고정적으로 포함되어 있으며, 이러한 단어가 포함된 콘텐츠는 게시 후 수 초 내에 삭제될 가능성이 높다. 더 나아가 해당 계정이 영구 정지될 수도 있으므로, 마케팅 문구뿐 아니라 댓글이나 사용자 생성 콘텐츠(UGC)에도 이러한 키워드가 포함되지 않도록 철저히 관리해야 한다.
플랫폼에 따라 민감도가 다를 수 있지만, 대부분은 AI 기반 필터링 시스템을 통해 실시간으로 검열을 수행하고 있다. 특히 웨이보와 위챗은 중국 정부와 가장 긴밀히 협력하는 플랫폼으로 알려져 있어, 조금의 의심만 있어도 계정 제재가 이루어진다. 따라서 정치적 표현은 철저히 배제하고, 우회적으로라도 관련된 단어를 사용하는 일이 없어야 한다. 또한, 해외 마케터가 자주 실수하는 부분은 ‘정치적인 의도가 전혀 없는 단어’조차 중국 내에서는 다르게 해석될 수 있다는 점이다. 예를 들어, ‘혁신(Innovation)’이라는 단어도 특정 문맥에서는 정치적으로 민감한 단어로 간주되기도 한다.
종교·인권 관련 금지 키워드 및 표현 방식의 주의점
중국은 종교와 인권에 대한 논의도 민감하게 다룬다. 특히 종교 관련 키워드는 플랫폼에 따라 필터링 강도가 다르지만, 공통적으로 ‘Falun Dafa’, ‘교회(Church)’, ‘기도(Prayer)’, ‘신앙(Faith)’ 등은 위험군으로 분류된다. 마케팅 콘텐츠에서 종교적 색채를 드러내는 표현은 피해야 하며, 특히 무슬림, 기독교, 불교 관련 용어는 단독 사용만으로도 콘텐츠 삭제의 대상이 될 수 있다.
인권 관련 용어도 마찬가지다. 예를 들어 ‘자유(Freedom)’, ‘인권(Human Rights)’, ‘표현의 자유(Freedom of Speech)’와 같은 표현은 국제 사회에서 자주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이지만, 중국 내에서는 매우 민감한 이슈로 취급된다. 위와 같은 키워드를 포함한 콘텐츠는 단순한 콘텐츠 삭제를 넘어서, 계정 경고 혹은 광고 계정 자체의 운영 제한으로 이어질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마케터는 콘텐츠 번역 시에도 주의가 필요하다. 단순히 영문 문구를 중국어로 번역하여 사용하는 방식은 검열을 피하기 어렵다. 중국 내 현지화된 언어와 표현 방식을 사용하는 것이 필수이며, 종교나 인권 이슈를 언급하지 않고도 메시지를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방식으로 콘텐츠를 재구성해야 한다. 이런 관점에서 현지 마케터나 로컬 에이전시의 자문을 받는 것도 좋은 방법이 될 수 있다.
사회적 불안정 요소, 질병, 자연재해 관련 키워드도 금지 대상
많은 마케터들이 간과하는 부분 중 하나는 사회적 불안 요소나 재난 상황에 관련된 키워드다. 중국 정부는 자국 내에서 발생한 문제를 외부에 알리는 행위를 매우 경계한다. 따라서 ‘지진(Earthquake)’, ‘홍수(Flood)’, ‘코로나19(COVID-19)’, ‘감염병(Infectious Disease)’ 등과 같은 단어는 검열 대상에 포함된다.
특히 코로나19 관련 키워드는 2020년 이후 더욱 엄격하게 통제되었으며, 현재까지도 이와 관련된 표현은 대부분 자동으로 블록된다. 예를 들어 ‘우한(Wuhan)’이라는 도시명을 코로나와 함께 언급하는 경우, 해당 콘텐츠는 필터링 시스템에 즉시 걸리게 된다.
또한, 범죄와 관련된 키워드도 제한된다. 예를 들어 ‘테러(Terrorism)’, ‘살인(Murder)’, ‘강간(Rape)’, ‘납치(Kidnapping)’ 등은 뉴스 기사에서조차 제한적으로 사용되며, 일반 마케팅 콘텐츠에서는 절대 금기다. 이러한 단어들은 플랫폼 운영 정책상 "공공 질서 및 도덕성 저해"로 분류되어, 콘텐츠 자체뿐 아니라 계정의 신뢰도에도 영향을 줄 수 있다.
마케팅을 통해 사회 문제를 지적하거나, 사회적 메시지를 담고자 하는 경우에는 다른 국가에서는 긍정적으로 평가받을 수 있지만, 중국에서는 오히려 반대로 작용할 수 있다. 따라서 모든 콘텐츠는 긍정적이고 중립적인 분위기로 유지되어야 하며, 비판적이거나 의혹을 제기하는 방식은 철저히 배제되어야 한다.
중국 마케팅에서 금지 키워드를 피하기 위한 실질적 운영 전략
중국 플랫폼 마케팅에서 금지 키워드를 피하기 위해서는 단순히 단어만 삭제한다고 해결되지 않는다. 전체 문맥과 표현 방식이 중요한 평가 요소로 작용하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 첫 번째로 고려해야 할 점은 현지 언어에 맞는 표현 최적화이다. 중국어에도 다양한 방언과 지역별 어휘가 존재하므로, 일반적인 번역기가 아닌 로컬 콘텐츠 전문가를 통한 검수가 필요하다.
두 번째 전략은 플랫폼별 운영정책을 정기적으로 확인하는 것이다. 샤오홍슈, 웨이보, 도우인 등 각 플랫폼은 자사 기준에 따라 자체적인 금칙어 목록을 보유하고 있으며, 분기별 혹은 이벤트 상황에 따라 검열 기준이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정치적 이벤트가 있는 기간에는 검열이 강화되며, 평소에는 허용되는 단어도 일시적으로 금지될 수 있다.
세 번째로는 UGC(User Generated Content)에 대한 사전 필터링 시스템 도입이다. 사용자 댓글이나 후기를 통해 금지 키워드가 노출되는 경우도 많기 때문에, 마케터는 자사 플랫폼 내 사용자 활동도 철저히 모니터링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AI 기반 사전 검열 툴을 활용하여 테스트하는 절차도 고려할 수 있다. 이미 일부 중국 마케팅 전문 기업들은 자체적으로 금지 키워드 분석기를 개발해 활용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미리 콘텐츠의 위험도를 파악하는 것이 가능하다.
중국 플랫폼 마케팅에서 금지 키워드 대응 전략의 핵심 정리
중국 플랫폼 마케팅은 단순한 언어 번역만으로는 성공할 수 없다. 정치, 종교, 인권, 사회 문제와 관련된 키워드를 철저히 배제하고, 플랫폼별 정책과 검열 기준을 정확히 이해한 뒤 현지화된 콘텐츠 전략을 수립해야 한다. 특히, 실시간으로 변화하는 규제 환경 속에서 금지 키워드를 피하면서도 브랜드 메시지를 효과적으로 전달하는 것이 핵심이다. 이번 글을 통해 소개된 금지 키워드와 주의사항은 중국 마케팅 진입 전 반드시 숙지해야 할 기본 요소이며, 이를 체계적으로 관리하는 것이 성공적인 마케팅의 출발점이 될 것이다.